수도권 전철 8호선

덤프버전 : (♥ 0)

||
파일:8000_821.jpg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 지하철 8호선 노선도(2021_12).svg
노선 정보
분류도시철도
광역철도
지정구간
별내선 구간
차량 분류대형 중전철
기점별내역, 암사역
종점모란역
역 수24개, 18개
구성 노선별내선
서울 지하철 8호선
상징색
분홍색 (#E6186C)
개통일1996년 11월 23일(27주년)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사서울교통공사
사용차량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모란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30.2km[1], 17.7km
궤간1,435mm
선로구성복선
급전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ATO
최고속도80km/h
표정속도32.7km/h[2]
지상구간남위례
통행방향오른쪽
개통 연혁1996. 11. 23. 잠실모란(남위례 제외)
1999. 07. 02. 잠실암사
2021. 12. 18. 남위례
개통 예정2024. 08. 암사별내
미정. 별내별내별가람

1. 개요
2. 건설 목적
4. 구성 노선
5. 환경
5.1. 안내방송
5.2. 혼잡 구간
6. 전 구간 주행 영상
9. 소재지
10. 운행 차량
11. 현존 행선지
12. 역별 승하차 통계
14. 사건·사고
15. 기타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8호선서울특별시 강동구에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노선 색은 분홍색으로 색의 뜻은 낭만이다. 노선도 상에는 분홍색이 아닌, 거의 홍매색에 가까운 색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열차 도색은 분홍색이다. 추후 별내선이 완공되면 남양주시 별내신도시까지 연장 운행하게 된다.

파일:지하철8호선.jpg[3]

2. 건설 목적[편집]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실질적인 건설 목적. 1970년대 초 광주대단지사건의 여파로 서울시는 서울과 광주대단지(현 성남 원도심)를 잇는 전철 노선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재정 문제로 1기 지하철에는 포함되지 못했으나 그 이후 성남시의 인구가 점점 늘어나며 교통 수요가 지하철이 반드시 필요한 수준에 다다르자 2기 지하철에 포함되어 8호선으로 실현되었다. 서울과 경기도를 연결하는 노선이 100% 서울시 부담으로 건설되었고[4] 서울 지하철에 포함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2기 지하철의 건설 목적. 1기 지하철 4개 노선 개통으로 서울의 많은 지역에 지하철이 놓이게 되었지만, 여전히 철도 교통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지역들도 남아 있었다. 8호선은 그 중 송파구 남부와 강동구 서부 등을 지남으로서 이들 지역 주민들이 지하철을 타고 편리하게 도심 및 서울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잠실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면 강남으로 갈 수 있고, 천호역에서 5호선으로 환승하면 도심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


3. 역사[편집]




3.1. 별내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별내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서울 지하철 8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8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구성 노선[편집]




5. 환경[편집]



5.1. 안내방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어강희선
영어제니퍼 클라이드
출발 BGM서울교통공사 로고송
환승 BGM풍년
종착 BGM서울교통공사 로고송
  • 8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운영 노선 중 유일하게 중국어/일본어 안내방송이 없는 노선이다. 최대 2018년 11월까지 잠실역에서, 일부 열차는 가락시장역에서도 나왔었다.


5.2. 혼잡 구간[편집]


2022년 기준 최고 혼잡도 강동구청역 - 몽촌토성역 136.8%. 2011년 147%, 2013년 139%, 2015년 기준 123%로 혼잡도가 감소하는 추세였다가 2017년부터 문정역 일대 법조단지 조성, 2021년 5호선 하남선 연장 개통에 따른 천호역 환승으로 인해 혼잡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2021년 기준 134.1%는 132.2%의 5호선, 127%의 7호선보다도 혼잡도가 높게 집계됐다.

수도권 전철 1~8호선 중 이용객은 제일 적지만 다른 노선들에 비해 역 갯수가 적다는 점과 1~7호선과 달리 6량 1편성으로 운행한다는 점[5], 천호역, 잠실역, 복정역 등의 환승 인파, 2010년대 후반부터 이용객 수가 폭증한 문정역 출퇴근 인파를 생각하면 절대로 혼잡도가 낮은 노선이 아니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노선이다.

출근 시간 기준으로 모란역~신흥역에서 8호선을 타고 빙 돌아서 가는 것보다 모란역에서 수인·분당선을 타고 성남대로를 따라 올라가는 것이 서울로 더 빨리 갈 수 있는 방법이기에 수요가 적지만, 성남시 원도심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고 버스 연계가 좋은 단대오거리역남한산성입구역에서부터 많은 사람들이 타기 시작한다. 이에 더해 복정역에서 자체 수요와 수인·분당선으로부터 온 환승객들이 대거 유입되어 열차가 상당히 혼잡해진다. 최근 신흥역-수진역 일대가 재개발됨에 따라, 출퇴근 시간때엔 모란부터/모란까지 차내가 혼잡해졌다. 장지역에서 혼잡도의 최고조를 이루고 난 다음, 법조단지가 조성된 문정역과 3호선 환승역인 가락시장역에서 승객들이 내리기 시작하고, 주거지역인 송파역의 탑승객으로 혼잡도가 다시 높아졌다가 석촌역잠실역에서 9호선, 2호선 환승객들이 대거 내리며 한산해진다.

한편 암사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암사역부터 많은 사람들이 타고 천호역에서는 역세권 인구에 더해 버스 환승객 및 강동구, 하남시에서 온 5호선 환승객들이 몰려들며 혼잡도가 매우 높아진다. 주거지역인 강동구청역몽촌토성역을 지나며 혼잡도가 절정을 찍었다가 잠실역, 석촌역, 가락시장역, 문정역을 거치면서 환승객들과 법조단지 출근 승객이 차례차례 내리면서 열차 안이 한산해진다.[6] 향후 별내선 연장으로 구리시남양주시 수요까지 혼잡도가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 사실 8호선은 배차 간격이 워낙 길어서 앞으로 6량 열차가 더 들어오면 혼잡도가 해결될 수도 있지맘 예산 문제때문에 열차 수를 늘리는데에 한계가 명확하고 열차 량수를 8량으로 늘리려고 해도 기존에 개통된 승강장에 8량 대비 설계가 전혀 되어있지 않아 불가능하다. 따라서 엄청난 혼잡도가 예상된다.

퇴근 시간 기준으로 환승역과 가까운 칸은 양방향 모두 9호선 급행 뺨치는 혼잡도를 보여준다. 특히 암사행 6호칸은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한데, 3호선과 환승되는 가락시장역, 9호선과 환승되는 석촌역, 2호선과 환승되는 잠실역 모두 6-4가 환승 최단코스인지라[7][8] 복정부터 승객이 타지도 못할 정도로 붐비기 시작하고 가락시장에 이르면 사람을 쑤셔넣어 탈 정도의 헬파티가 열린다. 6호차에 탑승한 이상 송파역 하차는 아예 불가능하다고 보면 되기에 송파에 하차하고 싶다면 1호차 쪽에서 타는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6. 전 구간 주행 영상[편집]


모란역 암사역 전 구간 주행 영상
암사역 모란역 전 구간 주행 영상


7. 역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8호선/역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환승역[편집]




미개통 환승역 [ 펼치기 · 접기 ]


환승역은 천호역(5호선), 잠실역(2호선), 석촌역(9호선), 가락시장역(3호선), 복정역(수인·분당선), 모란역(수인·분당선)이 있다. 공사 중인 현 별내선 연장이 개통되면 구리역에서 경의·중앙선, 별내역에서 경춘선, GTX-B 환승도 가능해진다, 또한 별내선이 관통하는 구리시에서 6호선 연장을 주장하고 있고, 실제 역사도 6호선 연장을 전제로 지어지고 있어 동구릉역에서 6호선 환승도 가능성이 있다. 다만, 1호선7호선은 아직 까지는 8호선과 만날 계획이 없지만 의정부 연장선의 탑석역, 의정부역 또는 녹양역 등으로 연장되면 만날 가능성이 있다.1, 2, 3, 4, 5, 6, 7, 8, 9호선 모두 있다

6개의 환승역 중 4개(잠실역, 석촌역, 가락시장역, 모란역)의 빠른 환승위치가 암사행은 6-4번, 모란행은 1-1번 문이다. 모란역은 시종착역이므로 8호선 암사행 열차에서 내릴 일은 없지만, 나머지 3개의 환승역에서는 암사행 열차의 6번째 칸과 모란행의 1번째 칸은 빠른 환승을 노리는 승객들로 항상 붐빈다. 특히 출근 시간만 되면 이 객차들만큼은 9호선을 넘는 혼잡도를 보인다. 여유 있게 앉아 가고 싶다면 이 객차를 피해서 타고, 그중 천호역에서 내리거나 갈아탈 승객이라면 정 반대로 암사행 1번째 칸이나 2번째 칸에서 탈 것을 권한다. 역 출입구와 환승 계단이 모두 1번째 칸 쪽에 몰려있다.


9. 소재지[편집]




10. 운행 차량[편집]




11. 현존 행선지[편집]


  • 상행: 별내행(암사행)[9], 잠실행
  • 하행: 모란행, 가락시장행


12. 역별 승하차 통계[편집]


2023년 기준 서울 지하철 8호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1. 환승역 승하차량은 다른 노선의 승하차량을 제외한 수치이다.
  2. 복정역은 수인·분당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8호선이 독점하고 있으므로 수인·분당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8호선
노선 총합
역수구간역당 일평균 이용객일평균 승하차량2023년 승하차량최다 이용역최저 이용역
18개암사 ↔ 모란20,346명366,234명133,675,477명문정모란
일일 이용객 수
역수구간5만명 이상5만명~2만명2만명~1만명1만명~5천명5천명 이하
18개암사 ↔ 모란없음7개역
(역별 순위 1~7위)
10개역
(역별 순위 8~17위)
1개역
(역별 순위 18위)
없음

수도권 전철 8호선
역별 순위
순위역명일평균 승하차량2023년 승하차량
1위문정38,152명13,925,376명
2위잠실34,075명12,437,337명
3위암사33,348명12,172,024명
4위장지31,562명11,520,146명
5위천호30,688명11,201,104명
6위남한산성입구25,151명9,180,013명
7위단대오거리22,690명8,281,931명
8위강동구청19,757명7,211,476명
9위송파17,237명6,291,467명
10위석촌16,354명5,969,033명
11위복정16,298명5,948,653명
12위가락시장15,638명5,707,795명
13위남위례12,934명4,720,820명
14위몽촌토성12,911명4,712,581명
15위산성10,323명3,767,901명
16위신흥10,169명3,711,626명
17위수진10,125명3,695,775명
18위모란8,823명3,220,419명



13. 연장 논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8호선/연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1. 별내신도시 연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별내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리시 지반 침하사고로 원래 개통 예정일이었던 2023년 9월에서 2023년 12월로 연기됐다.[10] 그러나 싱크홀 발생으로 2024년 6월로 개통이 연기되었다가 시운전 착수 지연으로 2024년 8월로 다시 한번 연기되었다.[11]


14. 사건·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 운행방해 사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20년 8월 26일, 구리시 교문동의 한 아파트에서 싱크홀로 추정되는 지반 침하가 일어났는데, 아파트 인근의 별내선 공사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시행사인 현대건설이 해당 지역이 취약 지반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수 조치만 시행하는 등 취약 지반에 대한 대비를 제대로 하지 않았는데, 이는 오히려 현대건설에게 벌점을 부과하는 것에 그쳐 특혜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사고로 인해 개통이 3개월 지연되었다.[A] 그러나 또 싱크홀이 발생하는 바람에 2024년 6월로, 이후 위와 같이 시운전 착수 지연으로 2024년 8월로 다시 한번 연기되었다.


15. 기타[편집]


  • 전 구간 완주 시 32분이 소요된다.[12]

  • 수도권 전철 1~9호선 중 역 수가 가장 적고(18개), 길이가 짧은 노선이며, 향후 별내선이 개통해도 이는 유지될 예정이다. 수도권 전철의 중전철 노선 중 가장 짧다. 한때 수도권 전철 최장거리 구간이었던 검암역~운서역의 18.6km보다 짧았으며, 1호선의 범위를 서울역~청량리역 구간으로 좁힌다면 1호선 다음으로 역 수가 적고 길이가 짧지만, 이용객 수는 서울 도심을 훑고 지나가는 1호선이 훨씬 더 많다.

  • 1~9호선 중 유일하게 평시에 중간 종착이 없는 노선이다. 다만 9호선의 경우 완행/급행을 별개로 간주하면 역시 평시에 중간 종착역이 없다.

  • 5~8호선 중 유일하게 6량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며, 또한 약냉방칸이 유일하게 3~4호차에 있다.

  •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오랫동안 노선에 변화(추가역 개통, 연장 등)가 없었던 전철 노선이다. 1999년 7월 2일 암사~모란 구간 완전 개통 후 2021년 12월 18일 남위례역의 추가 개통 전까지 22년간 노선에 변화가 없었다. 지방 도시철도까지 보면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연장 이전까지의 기간이 몇개월 차이이지만 더 오랫동안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단일 운행 계통, 노선 계통별로 나눠서 보면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본선인 을지로순환선이 전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변화가 없었다. 2호선 을지로순환선은 당산철교가 수리되어 당산~합정 구간이 재개통할 때부터 24년째 현재진행형이며, 단순히 임시 폐쇄였던 당산철교 수리 기간을 제외하면 40년째 현재진행형이다.

  • 이 노선의 배차 간격은 출근 5분, 퇴근 6분, 평일 평시 8.5분, 주말 및 공휴일 8.5분이다.

  • 복정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상대식 승강장이며, 복정역만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이다. 별내선 구간도 모두 상대식 승강장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 편의점은 세븐일레븐에서 GS25로 바뀐 시기가 존재하나, 일부 역에서는 GS25가 입점하지 않은 역이 있다. 천호역에는 세븐일레븐이 있었으나 현 시점에서는 없어졌고, 잠실역에서는 지하철역의 영역권에 세븐일레븐이 따로 존재하며, 역내 영역권에는 CU가 입점해 있다. 잠실역은 주변 지역이 롯데월드로 지정되어 있는 특성상 롯데 브랜드의 입지가 압도적이다.

  • 2009년 12월,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존속해 있던 시절 공사가 운영하는 각 노선색에 상징을 부여했는데, 8호선의 분홍색은 '낭만과 사랑'을 뜻한다고 한다.[13]


  • 노선이 서울에서도 가장 동쪽만 다니기 때문에, 환승이 안되는 노선도 많다. 1호선, 4호선, 6호선, 7호선, 신분당선과는 환승이 되지 않는다. 다만 별내별가람역까지 연장이 착공되면 4호선과도 환승이 가능해진다. 워낙 서쪽에 위치한 인천공항철도나 서해선은 아예 실현이 될 수없는 수준이다. 별내선 개통 이전에는 경의중앙선, 경춘선도 미환승 노선 대상이었다.

[1] 별내별가람역까지 연장되면 33.4km[2] 별내선 개통 시 36.2km/h[3] 건설목적에 따라 구성남 지역으로 급하게 꺾인 선형이다[4] 그래서 서울전용 정기권과 서울시에서 발행한 기후동행카드를 해당 구간에서 이용할수가 있다.[5] 2호선 지선 차량 제외. 성수지선은 4량 1편성이고, 신정지선은 6량 1편성이다.[6] 사실 잠실역, 석촌역이 환승역이라 내리는 사람이 많을것같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승객들이 8호선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이 문정/장지동 업무단지 출퇴근, 경기권 대학(을지대/가천대/신구대) 통학이라 실질적으로 문정역에서 한번 한산해지고 복정역에서 한번 더 한산해진다. 암사행과 달리 모란행에서는 잠실역과 석촌역에서 내리는 사람보다 타는 사람이 더 많아 서서 손잡이를 잡고 가기는 커녕 출입문 바로 앞에서 낑겨타야한다.[7] 석촌역의 경우 8호선에서 하차하는 순간 모두가 9호선 플랫폼으로 달린다. 이곳에서 9호선 급행에 착석하지 못하면 지옥철이 확정되는지라 절박하게 달리는데, 조금이라도 가까운 곳에서 달리겠다고 6-4에 몸을 미친듯이 우겨넣으며 탑승한다.[8] 단, 5호선과 환승되는 천호역은 암사행 1호칸이 환승 최단코스이다.[9] 현재 영업시운전 목적으로 모든 열차들이 별내행으로 운행하고 실제 별내선 구간에도 진입하지만, 암사역에서 모든 승객을 하차시키므로 승객 입장에서는 암사행인 상태이다.[10]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11] 「남양주시, 별내선 약 2개월 늦춰진 '8월중 개통' 예정」, 국제뉴스, 2024-04-19 [A] [12] 별내선이 개통하면 별내역에서 모란역까지 53분이 소요된다.[13] 「[서울도시철도공사] 5678호선에 담긴 색깔 의미, 지하철 색깔」, 보존된 페이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지하철 8호선 문서의 r16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서울 지하철 8호선 문서의 r16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5:13:51에 나무위키 수도권 전철 8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